내 손 잡아

fix 2013. 7. 21. 17:23
둘이 서있는 사이로 바람이 불었다. 7월의 바람은 더웠고, 달빛인지 가로등빛인지 혹은 빨갛게 물든 볼의 더운 빛인지 모르겠지만 기범의 두 볼은 상기되어 있었다. 그리고 동그랗게 주황빛이 든 볼 위로 투둑 눈물이 줄기를 이루며 떨어진다. 찔끔거리며 우는 것 말고, 눈에 고인 눈물이 감당이 되지 않을 만큼 돌고 돌아 툭툭 하고 볼을 때리며 떨어졌다. 덥게도 운다. 눈을 꼭 감고 뜰 때마다 매번 눈물 줄기가 떨어졌다. 찝찌름한 눈물의 맛이 입술 끝을 가르고 입속으로도 들어왔다. 눈물을 닦을 정도의 여유도 없었다. 빳빳하게 차렷 자세로 소리도 내지 못하고 기범이 울었다. 그런 기범을 가만히 보고 있는 종현 역시 별 말도 하지 않고 그런 기범을 보고 있다. 무슨 말을 해주어야 할지 모르겠으니까.

"고백을 한건 난데, 니가 왜 울어."

종현이 쓰게 웃었다. 맛있는 저녁을 먹이고 먹고 싶다던 목이 찢어질 것만 같이 달고 단 케이크도 잔뜩 사먹이고서는 마지막에 이렇게 울려 버리다니. 형편없는 고백이라고 생각했다. 고백을 받고 우는 것은 또 무슨 반응인지 모르겠으나 적어도 따귀를 맞는 것과 같이 최악의 상황은 오지 않았으므로 잘되었다고 생각한다. 말도 않고 울어 버리는 것이 맞는 것보다 낫다면야, 뭐 차악이라고 생각한다. 그래도 입이 써지는 것은 어쩔 수가 없다. 울고 싶은건 종현 자신인데 먼저 울어 버리는 것이 답답했다. 

"그러니까, 내가 놀라지 말라고, 말했잖아..."

괜히 땅을 내려다 보며 발 끝을 툭 찼다. 이거라도 하지 않으면 같이 울어 버릴 것 같아서. 내려다보니 기범의 발 끝이 모아져 있다. 시옷 모양으로 종현을 향해 모아져 있는 가지런하고 깨끗한 운동화코를 보니 귀여워서 웃음이 났다. 울음도 나면서 웃음이 나는 이상한 기분이다. 이제 어떻게 한담. 이렇게 돌아서야 하나. 아니면 달래서 미안하다고 해야 하나. 울어버리는 상황은 시나리오에 없었다. 나도 좋다며 포옹하는 해피엔딩과 이러지 말라는 정상범주의 반응, 그리고 변태라고 따귀를 맞는 반응 등등을 상상해왔는데 울어 버리니 할 말도 없고 할 수 있는 것이 없다.

"멍청아."

얘는 나이도 어린게 꼭 멍청이래. 히끅 거리면서 울음과 뱉은 첫 마디가 멍청이란다.

기범아, 내가, 널 좋아하는 것 같아. 네가 최민호 좋아하고 태민이 좋아하는 그런거 말고 나는 너랑 안고 싶고 뽀뽀도 하고 싶고, 그런거 하고 싶어. 그런 걸로 좋아해. 그리고 많이 좋아해. 오래됐어. 처음에는 동생이었는데 친구가 되었고, 근데 이제는 나한테는 너 친구 아니야. 말하고 싶었어, 미안해.

멋 없지만 진심을 이야기 하고 들어버린 첫마디. 멍청아.

"난, 처음부터 친구 아니었단 말이야."

그 말을 뱉고 이제는 소리 내어 엉엉 운다. 이건 김종현이 상상했던 어떤 반응 보다 좋은 반응이다. 하얀 손등이 빨간 볼과 눈두덩이를 문지르면서 막 운다. 종현이 한 발자국 기범에게 다가 갔다. 눈을 부비지 않는 힘 없이 떨구어진 왼손을 잡았다. 힘없는 손이 작은 종현의 손을 따라 그의 곁으로 왔다. 잡은 기범의 손은 더웠다. 7월의 낮만큼.

"그러면, 이제 내 손... 잡아."
 
같이 가자.
모든 것이 서툴고, 더운 바람에 휘청일 만큼 아직 어리지만, 손을 잡으면 넘어지지 않고 휘청이지 않을거야.
갈 수 있는 데라면 어디든 가자.
준비되면 말해. 같이 가자, 어디든. 그러니까, 이제 내 손 잡아.
우리의 시간은 기적이잖아. 


-

에피톤 프로젝트 <초보비행>